• 소식
  • 청년이슈 It’s You

청년이슈 It’s You

국민의 생각과 행복이 최우선인 국가정책, 국민의힘이 만들겠습니다.

청년이슈 It's You 원고모집
이웃나라의 또 한 번의 노벨상 수상... 대한민국은?
작성일 2021-10-19

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한 알프레드 베르나르드 노벨(Alfred Bernhard Nobel)이 기부한 유산을 기금으로 하여 설립된 노벨재단(the Nobel Foundation)1901년부터 매년 인류의 복지에 공헌한 사람이나 단체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상이라고 칭해지는 노벨상은 문학, 화학, 물리학, 생리학 또는 의학, 평화, 경제학의 6개 부문으로 나뉘어서 수상이 이뤄진다.

그리고 불과 며칠 전인 2021106, 이웃나라 일본은 노벨상 수상자를 한 명 더 배출하였다. 일본 국적은 아니지만 일본계 미국인인 슈쿠로 마나베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명단에 포함된 것이다. 일본은 이로써 25번째 노벨상 수상을 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떨까.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겠지만 우리나라의 노벨상 수상은 작고하신 김대중 전 대통령께서 2000년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신 것이 전부이다. 더 씁쓸한 것은 과학 분야의 노벨상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조만간 일본은 노벨상 수상자를 또 한 명 배출했는데 우리나라는 뭐했느냐는 식의 목소리가 일부 정치인들과 정부 관료들의 입과 각종 언론들을 통해서 나올 것이라고 예상한다. 아니, 검색을 조금만 해보면 이미 이러한 말들이 수도 없이 양산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시점에서, 이러한 말들을 하시는 분들께 두 가지를 질문하고 싶다.

1. “그게 하루아침에 되나요?”

지나치게 조급한 태도가 문제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기초과학 연구가 제대로 실시된 지 약 4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대한민국은 6.25 전쟁 이후 1970년대 초반이 되어서야 비로소 대한민국에 국가 과학 연구의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KAIST)가 세워지고, 1977년에 한국과학재단이 설립되었다. 이 당시 유럽의 스위스 같은 경우에는 이미 10명의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상황이었고, 이웃나라 일본도 이미 그보다 약 30년 전인 1949년에 최초의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유카와 히데키, 노벨 물리학상)를 배출했었다.

 

이러한 상황을 되돌아보면 어쩌면 노벨상을 아직 받지 못하는 것이 당연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과학 연구의 제대로 된 출발이 매우 늦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기초과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한지 이제 겨우 40여년이 되어가는 반면, 이웃나라인 일본은 약 150년가량을 기초과학 연구에 쏟았다. 40여년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기초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왜 노벨상을 왜 못 받느냐고 조바심을 내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생각한다.

 

자꾸만 조바심을 내니 일관되지 못 하고 귀 얇은 과학 정책이 양산되고 있다. 한 국가의 과학 정책 분야는 보수냐 진보냐의 정치적인 이데올로기와 상관없이, 해당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만 나아가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선거가 끝날 때마다 기존 정부가 중장기적으로 실시하고자 했던 과학 정책은 전임자 흔적 지우기의 일환처럼 없어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정부의 의사결정 방식도 문제이다. 예를 들어 구글(Google)의 인공지능(AI) ‘알파고와 프로 바둑기사 이세돌 9단의 대국이 끝나자마자 정부는 인공지능에 2020년까지 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철저한 분석이나 논의 없이 하나의 사례만으로 인공지능이 곧 미래라고 결정해 버린 주먹구구식 대응이다.

인공지능이 미래의 유망 분야라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의 성급하고 구체적이지 못한 정책결정과정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2. “노벨상 수상 등의 가시적 성과를 목적으로 하니 발전이 더 없는 것 아닌가요?”

 

물론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과 비교했을 때 턱없이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과학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왔다. 이의 연장선으로 정부 차원과 학계 차원에서도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기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가하고 있다.

 

우선 정부 차원에서는 과학 분야의 예산의 비중을 최대한 늘리고자 하고 있다. 질 좋은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려면 연구비가 넉넉하게 뒷받침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일부 언론을 참고하면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예산은 줄어들었다. 그러나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인 네이처(Nature)’에 따르면, 세계적인 국가들과 비교했을 경우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투자는 19992.07%에서 20144.29%로 늘어 현재 세계 1위이다. 미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투자 비율이 3%를 밑돌고, 중국과 유럽연합은 2% 수준인 것과 비교할 때 이는 엄청난 양의 예산임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학계에서도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례로 학교 최초로 이공계 출신 총장인 취임한 고려대학교에서는 논문이 많이 인용되는 ‘1% 연구자 명단(HCR)’에 오른 교수들에게 1억 원씩 지원해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노벨상 프로젝트를 운영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오히려 노벨상 수상을 과학 정책의 목표처럼 세우는 것처럼 흘러가는 것이 도리어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는 잘못된 목표이다. 과학은 옳은 방법으로 인간과 그 주위 환경의 삶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목표이지 절대로 특정한 상의 수상이 그것의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또한 가시적 결과를 목표로 하게 되면 도리어 조급해지게 되어 현실을 직시하기 힘들어지는 어려움도 발생한다.

 

노벨상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학문적으로 가장 뛰어난 업적을 기리는 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과연 노벨이 과학계가 본인의 상을 수상하는 데에 집착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본인의 유산을 기부하여 이 상을 제정했을까?

대한민국의 과학 분야 정책은 '노벨상'이라는 월계관을 바라볼 것이 아니라 충분한 투자질 좋은 인프라속에서 눈치 보지 않고’, ‘자유롭게’, ‘윤리적으로연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한국의 과학 연구가 이를 지키면서 진리와 자연의 이치를 쫓는 방향으로 나아간다면, 노벨상은 우리도 의식하지 못한 사이에 우리 옆에 와있으리라 믿는다. 

TOP